행위

Diverticular disease

게실 질환(diverticular disease, 곁주머니 질환)

작은창자 게실(small intestine diverticula)

  • 샘창자의 2nd portion, 빈창자에 호발
    • 대부분 무증상이나 일부에서 발열, 출혈, 천공, 혹은 AOV 근처에서 cholangitis, pancreatitis 유발 가능
    • 빈창자에서 세균 증식하는 경우, bile salt의 deconjugation이나 Vit B12 흡수 장애 일으킬 수 있다.
  • 멕켈 게실: terminal ilieum에서 호발


큰창자 게실(colonic diverticula, 잘록창자곁주머니증)

  • 고령에서 흔함, 장관 내 압력 증가가 원인으로 생각됨
  • 하행 및 구불 결장에서 흔함
  • 대부분 무증상이나 게실염, 혈변 가능


게실염(diverticulitis)

  • fecalith에 의한 혈류 장애로 발생
  • 복통, 발열, 직장 출혈(25%)
  • LLQ, RLQ tenderness, peritoneal irritation sign, leukocytopenia
  • perforation 가능
  • 진단
    • CT: 진단시 가장 유용, pericolic abcess 및 대장벽의 비후(>4mm) 관찰
    • barium enemacolonoscopy: acute시 금기, 천공의 가능성 때문
      • (참고로 식도 게실에서는 내시경은 주의, 식도조영술로 진단한다)
    • 암과 감별 필요: 6주 후 colonoscopy
    • (식도 게실은 식도조영술, 멕켈 게실은 멕켈 스캔이니까 혼동하지 말자)

치료

증상에 따라 단계별로 치료한다.

  1. 무증상: 식이습관 교정(fiber-enriched diet), 금연
  2. 경증: 합병증 없는 경우 내과적 치료
  3. 중증: 수술
    • 수술 적응증: 두번 이상 반복, 내과적 치료에 무반응, 40세 이전 발병, 합병증 발생 등
      • acute peritoneal sign, abscess, perforation -> diverting colostomy with resection


게실 출혈(diverticular bleeding)

  • 60세 이상의 hematochezia의 흔한 원인
  • 별 다른 증상없이 출혈 증상 가능(혈관형성이상과 감별해야함)
  • 고혈압, 동맥경화증, NSAID 사용시 출혈 위험 증가
  • 경도 및 중증도 출혈: 대장내시경, N/S
  • 대량 출혈: 혈역학적 안정시 혈관조영술

Peridiverticular abscess

  • Tx: US or CT guided aspiration + antibiotics



  1. Harrison 19th Ed. p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