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Bias

비뚤림(Bias)는 연구의 설계나 기구 상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는 오류이다. 크게 선택 비뚤림(Selection bias), 측정 비뚤림(Information bias), 교란 비뚤림(Confounding bias)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선택 비뚤림

  • Berkson's bias: 연구 대상을 특정 병원에만 한정하여 선정하는 경우 연구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라 입원율이 다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뚤림(입원 환자 대상으로 환자 대조군 연구를 할 경우 생기는 바이어스)
  • 선택적 생존 비뚤림(Selective survival bias)
  • 자발적 참여자 비뚤림(Volunteer bias): Healthy worker effect

측정 비뚤림

  • Selective recall bias: 특정한 질병을 가진 사람들이 특정 사실을 더 잘 기억
  • 조기발견 바이어스(Lead time bias): lead time이란 검진을 통해 질병을 발생한 시점과 증상이나 징후가 있어 질병을 발생한 시점 간의 시간차를 뜻한다. 검진이 효과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진단시점이 당겨저서 마치 오래 산 것처럼 나타나는 경우
  • 기간차이 바이어스(Length bias): 서서히 진행하는 질병의 분율이 더 클 때 발생하는 바이어스로 진행 속도가 느린 질병이 많이 포함됨으로 인하여 실제로는 조기진단의 효과가 없는데 선별 검사로 발견된 환자의 예후가 더 좋은 것처럼 나타나는 경우

교란 비뚤림

  • 짝짓기로 감소시킬 수 있다.
  • 연령과 성별이 흔한 교란 변수
  • 발생하는 경우
    • 모집단에서 교란변수가 있을 때
    • 표본 추출 과정 중
    • 측정 오차 또는 분류의 오차가 있을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