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onatal jaundice
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은 생후 첫 주내에 절반 이상에서 관찰되는 흔한 질환으로 양성 경과를 보이는 생리적 황달이나 모유 황달도 있지만 병적 황달도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시기에 따른 원인
- 24시간 이내: 용혈성 빈혈(ABO, Rh 부적합)
- 2~3일: 생리적 황달
- 3일~1주: 패혈증, 감염, 조기모유황달
- 1주 후: 모유황달
- 1개월 이상 지속: 담도폐쇄, 간염, cretinism
생리적 황달
- 태아 적혈구의 짧은 수명으로 인한 간접 빌리루빈 증가
- 성인 적혈구에 비해서 생존일이 짧은 태아적혈구로 인한 빌리루빈 생성의 증가와 미숙한 간에서의 빌리루빈 결합의 일과성 제한으로 발생
- 생후 2~3일에 나타나서 2~4일에 최고치(5~6mg/dL)에 도달 후 5~7일에 (2mg/dL미만)감소
- 미숙아의 생리적 황달은 만삭아와 비슷하거나 약간 늦게 진행되는데, 최고치(생후4~7일)에 오른 후 더 오래 지속되어 생후 10일 경에 소실된다.
- 만삭아: 빌리루빈 <12mg/dL
- 미숙아: 빌리루빈 <14mg/dL
모유 황달
- 생후 3일 이후에 시작되어 길게는 2~3주까지 지속됨
- 후기 모유 황달: 생후 1주 후에 모유 먹으면서 나타나는 황달,
- 혈청 빌리루빈 농도가 10~30mg/dL까지 상승 가능.
- 황달이 가벼우면 모유 수유 지속 가능, 빌리루빈 농도가 서서히 감소하여 1~2개월까지 낮은 농도로 지속
- 심한 경우: 1~2일간 모유 중단 및 분유를 먹이고 다시 모유 수유
- 모유를 1~2일간 중단후 다시 모유 수유를 시작
- 조기 모유 황달(1주 전 나타남)인 경우 모유 수유 횟수를 늘린다
- 모유 수유가 충분하지 않아서 생긴 탈수나 칼로리 섭취 감소에 기인함
- 혼합 수유시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음
신생아 용혈성 질환
24시간 이내에 발생한다.
- Rh 부적합
- direct coombs test(+)
- 예방: human anti-D globulin 투여
- ABO 부적합
- 대개 엄마의 혈액형이 O형, 신생아 혈액형이 A나 B형일 때 발생
- direct coombs test; weakly or moderately(+)
핵황달
- 비결합빌리루빈이 BBB 통과하여 일어나는 신경학적 증후군
- 특징: 활모양 강직(후궁반장; 파상풍에서도 나타남)
- 치료
- 광선치료: 핵황달의 예방
- 교환수혈: 대략 빌리루빈 20 이상, 광선치료에 반응없는 경우
황달의 원인을 반드시 찾아야 하는 경우
- 생후 24~36시간 내 발생
- 혈청 빌리루빈 증가속도 > 5mg/dL/24h
- 혈청 빌리루빈이 만삭아(특히 위험인자 없는)에서 > 12mg/dL, 미숙아에서 > 10~14mg/dL
- 황달이 10~14일 이상 지속
- 직접 빌리루빈 2mg/dL 이상
감별 진단
- 직접 빌리루빈 증가: 패혈증, 자궁 내 감염(TORCHS), 담도 폐쇄, choledochal cyst 등
- 간접 빌리루빈 증가
- 쿰스 검사(+): Rh, ABO 부적합 등
- 쿰스 검사(-)
- Hb 상승: 쌍둥이간 수혈, 모자-태아간 수혈, 탯줄 결찰 지연, 부당 경량아
- Hb 정상 또는 감소: Hereditary spherocytosis, DIC, 배변지연, 장폐색, 신생아 가사 등
- 오래 지속되는 경우: 길버트 증후군, 다운 증후군, 선천성 갑상샘 저하증, 모유 황달, Crigler-Najjar 증후군
관련 질환
- 선천성 갑상샘 저하증: 갑상샘형성부전이나 갑상샘호르몬합성장애에 기인
- 출생시 모체의 갑상샘호르몬이 어느 정도 공급되므로, 3~4개월에 증상 나타남. 출생시 임상증상 보이는 경우는 드물다.
- 초기(영아기 증상) : 황달, 변비, feeding problem, lethargy, choking spell, 두텁고 얼룩덜룩한 피부
- 후기(영아기 이후) : 성장장애, 상하절 비가 정상보다 크다. 정신박약 등 신경학적 증상, 운동발달 지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