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Glycogen storage disease

글리코겐 축적 질환(Glycogen storage disease, GSD)은 글리코겐 대사의 결함에 의해 체내에 글리코겐이 축적 되는 질환을 일컫는다.

간 글리코겐 축적병; 간비대와 저혈당이 동반되는 질환(Disorders with hepatomegaly and hypoglycemia)

간비대와 저혈당이 동반되는 간 글리코겐 축적병의 대표적인 예는 아래와 같다. (각 유형의 자세한 정보는 링크를 타고가서 확인하세요.)

근육 글리코겐축적질환

근육 에너지 사용 장애(Disorders with muscle-energy impairment)

Type V GSD(Muscle Phosphorylase Deficiency; McArdle Disease

근육의 phosphorylase 결핍에 의한 상염색체 열성(autosomal recessive) 질환. 효소의 결핍이 글리코겐분해를 제한하여 글리코겐이 축적된다.

임상양상 & 진단의학적 결과

증상은 대개 성인 시기에 발현되기 시작하고, 운동력 감소(exercise intolerance)와 근경련(muscle cramps)를 보인다.

  • 두 가지의 활동이 주로 증상을 야기 한다:
    • 강한 강도의 운동을 짧은 시간내에 한 경우(i.e. 전력질주, 근력운동).
    • 중상 강도의 운동을 지속적으로 한 경우(i.e. 계단오르기, 경사 오르기, 등).
  • 일반적으로 평지 걷기와 같은 가벼운 운동의 경우 장시간 할 수 있다.
  • 대부분 운동 시나 운동 후 episodic하게 근육통과 근경련을 호소 하지만, 대략 35%의 환자에서 일반적인 활동이나 수면에 지장을 주는 만성적 통증을 보인다.
  • 반정도의 환자에서 미오글로빈뇨(myoglobulinuria)를 보인다. 심한 미오글로빈뇨의 경우 신부전을 야기할 수 있다.
  • 혈청 creatine kinase(CK) 수치는 평상시에도 높게 측정되고, 운동시 더 증가한다.
  • 이 외에도 운동시 혈중 암모니아, 이노신(inosine), 요산, hypoxanthine 등이 상승한다.
진단

허혈운동검사(ischemic exercise test) 후 혈중 젖산 증가의 부재 + 혈중 암모니아의 지나친 증가는 근육 글리코겐축적병을 시사하고, 글리코겐이나 포도당의 젖산으로의 전환 장애를 나타낸다. 확진은 근육조직의 효소 검사나 유전자 변이 검사로 할 수 있다.

점진적 골격근병증과 심근병증을 보이는 질환(Disorders with progressive skeletal muscle myopathy and/or cardiomyopathy)

Pompe Disease, Type II GSD(Acid a-1,4 Glucosidase Deficiency)

리소좀에서 글리코겐 분해를 담당하는 lysosomal acid a-1,4 glucosidase 효소의 결핍을 특징으로하는 상염색체 열성(autosomal recessive) 질환이다. 이 질환은 다른 GSD 질환과 달리 글리코겐의 축적이 세포질이 아닌 리소좀에서 일어난다.

임상양상 & 진단의학적 결과

이 질환은 다양한 표현형을 보인다. 각 표현형은 근병증을 보이지만 그 발병 시기, 장기(organ) 침범 정도, 임상 양상의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 유아기형(Infantile form)
 가장 심각. 심장비대(cardiomegaly), 근긴장 저하(hypotonia)를 보이고, 1세 이전에 사망. 초기에 정상으로 보이나 얼마지나지 않아 전반적인 근육 쇠약을 보여 수유의 곤란을 보이고, 혀 비대(macroglossia), 간비대(hepatomegaly), 비후성심근병증으로 인한 울혈성 심부전을 보인다.
  • 후기 시작 형(late onset form) 또는 청소년/성인 형
 심장이상을 보이지 않거나 미비하고 주로 근골격계 이상을 보이며, 느린 진행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소년(juvenile)/성인 형은 대개 움직임발달 장애(증상시작 시기가 발달과정 중 나타날정도로 이를 시)와 보행장애를 초기 증상으로 보이게 된다. 병이 진행하면서 환자는 삼킴장애, 근위부 근 쇠약, 호흡근 장애를 보인다. 청소년형의 경우 10세를 넘기기 이전에 사망하기도 한다.
 성인의 경우 10세 이후-70세 이전(2nd-7th decade)에 cardiac involvement가 없이 천천히 진행하는 근병증으로 나타난다. 특징적인 임상양상으로는 천천히 진행하는 팔,다리 접촉부위 근위부 근육(proximal limb girdle muscle) 쇠약이다. 골반 근육, 척추주위 근육, 횡격막이 가장 심각하게 영향을 받는다. 호흡기 증상으로는 졸림(somnolence), 아침 두통(morning headache), 기좌호흡(orthopnea), 운동성호흡곤란(exertional dyspnea)가 있다. 아주 드물게, 호흡 부전을 초기 증상으로 보이는 환자들이 있다. 그 외 나타나는 것들로는 basilar artery aneurysm, A-aorta의 확장, 눈꺼풀처짐(ptosis), 혀근육 쇠약(lingual weakness), 위장관 장애(GI dysmotility), 변/요실금 등이 있다. 많이 진행 된 환자들은 환기장치, 지팡이, 휠체어등에 의존하게 된다.
 진단의학적 소견들로는 혈청 CK, AST, LDH 상승
진단

KMLE Tip

2016 KMLE : 임상양상을 주고 진단을 맞추는 문제

참고

  •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9th ed. (433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