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Obstetrics summary

산과 요약

산전

임신의 확정 징후 1.태아와 배아의 확인(4~5주)2.태아 심박동(6주)3.태동 촉진(20주)
산전 관리 첫방문: EDC=LMP-3개월+7일

Rubella, pap smear

10~12주: CVS, 자궁이 치골 직상부에서 촉지됨(12주)

16~18주: 양수검사, MSAFP(triple test)

24~28주: GDM screening

28주: D(-)일 경우 anti-D Ig 투여 시점

32주: HOF Xyphoid process까지, 폐성숙을 위한 steroid의 효과 끝남(24~32주)

MSAFP 15주~20주 실시

MoM 2.0 이상: standard US 시행(GA 재측정과 쌍둥이, fetal demiase를 배제하기 위함) -> MoM 2.5 이상: specilized sono(태아기형 확인) -> 양수천자

Down syndrome Quad test: hCG & inhibin 상승, MASFP, estriol 감소

유전 진단 적응증 유전 상담 및 검사가 필요한 경우
  • 출산 시 산모나이 35세 이상(dizygotic twin 임신은 31세 이상)
  • 이전의 autosomal trisomy 출산 경험
  • 반복되는 조기 유산부부 중 누군가의 유전자적 이상
  • triple test 양성이면서 GA 확인된 경우
  • triple test(-)일지라도 고위험요인 존재시 양수 천자와 같은 확실한 산전 진단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CVS 10~12주, neural tube defect는 알 수 없다
양수천자 16~18주, phosphatidylglycerol, AFP 측정, Methylene blue 금기
탯줄천자 20주 이후, 혈액 질환, 태아 감염 등
태아 감시

BPP&NST

  • NST: reactive=2, nonreactive=0
  • Fetal breathing movment: 30분 내 30초 이상 지속되는 규칙적 호흡 1회 이상=2
  • Fetal movement: 30분 내 몸이나 사지의 움직임이 3회 이상=2
  • Fetal tone: 손을 쥐거나 펴거나, 사지의 굽혔다 펴는 동작이 1회 이상=2
  • Amniotic fluid volume: vertical diameter >2cm=2
BPP에 따른 처치
  • 10점: Normal -> 경과관찰(1주후 재검)
  • 8점 & 정상 양수: Normal
  • 8점 & 양수과소증: Chronic fetal asphyxia suspected -> 분만
  • 6점: possible fetal asphyxia-
    • 양수량 비정상: 분만
    • 양수량 정상 & 36주 이후 & 자궁 경부가 양호: 분만
    • 위 외의 경우 재검하여 6점 이하면 분만, 초과시 1주 후 재검
  • 4점: Probable fetal asphyxia -> 당일 재검 후 6 이하면 분만
  • 0~2점: Almost certain fetal asphyxia: 분만
태아 심박동
Umbilical artery doppler velocimetry 이상 소견시 NST를 포함한 complete evaluation을 시행해야함
Pregnancy ultrasound CRL, NT->BPD->all, AFI, 태아 기형
contracted pelvis diagonal conjugate가 11.5cm 미만 or intertuberous diameter가 8cm 미만인 경우 진단 가능

분만

분만

(Friedman curve)

  • 1st stage: 자궁 경부 소실 및 이완기
    • Latent phase: 규칙적 수축 시작, 자궁 경부 3cm정도
    • Active phase: 규칙적 수축과 함께 자궁경부 3cm 이상 열림
      • Acceleration phase
      • Phase of maximum slope
      • Deceleration phase
  • 2nd stage: 태아 만출기, 자궁 경부 완전히 이완된 후부터 태아 분만까지
  • 3rd stage: 태반 만출기
분만 중 태아 심박수 감시
  • 1st stage: high risk 30분, low risk 15분
  • 2nd stage: high risk 15분, low risk 5분
Cardinal movement ED FIEE E
난산 Latent phase: bed rest/위험하면 C/S, Acitve phase: CPD(-) oxytocin/(+) C/S
급속 분만 전신마취, 옥시토신 중단
조산 PROM: 즉시 분만해야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34주까지 임신 유지(스테로이드, 항생제)

즉시 분만 해야하는 경우

  • 산통 중인 경우
  • Fetal distress(C/S)
  • Infection
  • Fetal lung maturation이 확인됨
  • 태아의 기형
  • 34주 이상인 경우

조기 산통

지연 임신
  • 부적절한 자궁 경부: PGE2
  • 유도분만 적응증
다태 임신
  • 조산이 많다
  • Twin to Twin transfusion syndrome: amnioreduction, laser ablation of vascular anastomoses
  • 태아 중 한명이 사망시: 조산하지 않고 보존적 치료
  • 한명 출산 후 10분 안에 자궁수축이 없는 경우: Oxytocin
유산
  • 절박 유산: 피
  • 불가피 유산: 양막 파수
  • 불완전 유산: 유산 후 남은 태반 출혈
  • 계류 유산: 죽은 태아가 수 일 이상 자궁 내
  • 반복 자연 유산: 3회 이상 연속 자연유산

산과적 질환

특징 진단 치료
IIOC 양막이 자궁 경부 입구로 나옴 Cerclage(12~14주 경)
임신성 고혈압 임신 이후에 처음으로 발견된 고혈압, 산후12주 이내에 혈압 정상화
전자간증 GA20주 이후 HTN & 단백뇨

중증전자간증은 자간증에 준하여 치료

  • HELLP
  • Headache, visual disturbance, pulmonary edema 등
고혈압: Hydralazine, Nifedipine, labetalol
자간증 전자간증+경련
  • 경련: MgSO4, 중독시 Cacium gluconate
  • 임신 중단(심한 자간전증과 자간증)
  • Furosemide: pulmonary edema에만 사용, 나머지 경우 이뇨제 금기

산과적 출혈

태반 조기박리 임신 후반기의 복통과 질출혈

합병증 DIC, shock

임상적 진단 산모와 태아의 상태에 따라 치료
전치 태반 무통성 질출혈, 이전의 C/S, 인공유산력 USG 가능하다면 분만 연장, C/S
자궁 이완증
잔류 태반
태반 유착
산도 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