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Cardiac murmur

심잡음(Cardiac murmur, murmur)는 선천성 심질환, 판막 질환 등에서 매우 중요

부위 별 잡음

  • 흉골 우연
    • AS: crescendo-decrescendo systolic murmur
  • 흉골 좌상연
    • PS: HCMP에서도 비슷하게 들릴 수 있음
    • VSD(subarterial type): MR과 비슷, pansystolic murmur
    • ASD: Fixed S2 splitting(특징적), PS처럼 들린다. 심방간의 압력차는 비슷하여 ASD 자체의 잡음이 아니라 ASD에 의한 RV의 volume overload로 PS처럼 들리는 것
    • PDA: continuous machinery diastolic murmur, 넓은 맥압, 도약맥박
    • TOF
  • 흉골 좌하연
    • AR-Erb's area, decrescendo diastolic murmur, relative AS로 systolic murmur도 가능
    • VSD
  • 심첨부
    • MR: pansystolic murmur
    • MS: diastolic filling rummbling murmur, low-frequency, opening snap, S1, P2의 accentuation
    • VSD 약하게 들림
  • Pansystolic murmur: VSD, MR, TR


기타 심잡음

  • 열림음(opening snap): MS가 심해질 수록 A2-OS간격이 짧아져서 발생 및 AS에서 AV의 opening snap이 들림
  • 2심음 모순분열: MR에서 S2 wide splitting(AV 이른 폐쇄)를 보이며, AS에서 paradoxic splitting of S2가 들림.
  • 오스틴-플린트 잡음: severe AR에서 aorta에서 LV로 역류하는 flow와 LA에서 유입되는 flow가 만나면서 turbulence가 생기면서 anteriomitral leaflet가 진동하는데 여기에서 발생하는 murmur
  • 수축기 째깍음: mitral valve prolapse에서 mid/late systolic click이 들리며 pulmonary stenosis에서도 수축기 클릭음이 들린다.

maneuver에 따른 심잡음

발살바, 일어설때 HCMP, MVP를 제외한 대부분의 murmur가 감소

  • 일어설때: Preload 감소
  • 발살바: Preload 감소 (handgrip, leg elevation은 preload 증가인듯)
  • nitrates: Preload 감소, afterload 감소
  • 흡기: Preload 증가
  • 웅크림: Preload 증가, afterload 증가 -> 폐관류량 증가


생리적 심잡음

  • 생리적 폐동맥 분지 협착음(Pulmonary flow murmur)
    • 생후 수개월 내의 신생아, 영유아에서 흔히 들리는 잡음으로 심 바로 위에서보다는 양쪽 폐 말단 부위에서 더 크게 들리는 짧은 수축 중기 음이다.
    • 이완기에 들리거나 강도가 3도 이상의 잡음은 무해성 심잡음이 아니다.
  • Carotid bruit
  • Venous hum
  • Still murm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