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mit Dextrinosis
Physiology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7월 20일 (수) 09:53 판 (새 문서: Glycogen storage disease의 형태이며 상염색체 열성(autosomal recessive) 질환이다. Glycogen debranching enzyme의 결핍. 이로 인해 글리코겐의 분해가 완전...)
Physiology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7월 20일 (수) 09:53 판 (새 문서: Glycogen storage disease의 형태이며 상염색체 열성(autosomal recessive) 질환이다. Glycogen debranching enzyme의 결핍. 이로 인해 글리코겐의 분해가 완전...)
Glycogen storage disease의 형태이며 상염색체 열성(autosomal recessive) 질환이다. Glycogen debranching enzyme의 결핍. 이로 인해 글리코겐의 분해가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임상양상 & 진단의학적 결과
간(GSD IIIb) OR 간+근육(GSD IIIa)에서 증상이 나타난다.
- 간비대(연령이 증가하면서 증상이 완화 된다; 고령에서 종종 간경화나 간암으로 발전한다; 종종 간선종이 생긴다)
- 저혈당
- 저신장
- 다양한 근골격 질환
- 심근질환
- 소아에서 저혈당과 고지혈증
- Type I과 달리 금식시 케톤증이 확연히 생기고, 간효소(aminotransferase) 수치가 증가되어 있다
- 혈중 젖산, 요산 수치는 대개 정상이다
- Creatine kinase(CK) 수치로 근육 관여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하지만 CK가 정상 수치이더라도 근육 관여 여부를 배제할 수 없다.
- 좌심실 비대와 치명적인 부정맥의 사례도 보고되었다
- 다낭성 난소(polycstic ovaries)가 흔하다(GSD I과 달리 PCOS의 임상양상인 다모증(hirsutism)과 불규칙 월경이 나타난다)
진단
- 병리학적 소견
- 글리코겐 축적으로 인해 간세포들이 늘어나 있다
- 부분적 섬유화 소견
- 과거에는 간과 근육에서의 효소 활성도를 확인해야 GSD III의 subtype을 구분 할 수 있었다
- 현재는 DNA 분석으로 비침습적으로 subtype 구분이 가능하다
참고
-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9th ed. 433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