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Uterine myoma

자궁 근종(Uterine myoma)

임상 양상

  • 가장 흔한 자궁 양성 종양, estrogen dependent tumor로 폐경기 이후 크기 감소 가능, 가족력 존재
  • 종류
    • intramural type(m/c): 80%
    • submucosal type: 5%, 증상과 합병증이 흔함
    • subserosal type
  • 일반적으로 무증상이나 1/4에서 증상 나타남
  • Abnormal uterine bleeding(m/c): 월경과다가 많음
  • 월경통, 성교통
  • 불임의 일차적 원인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진단

  • 골반 초음파, MRI
  • Hysteroscopy: 자궁근종으로 불임 유발 의심시

치료

  • 경과관찰: 무증상이나 특별한 적응증이 아닌 경우
  • 내과적 치료
    • GnRH agonist: 재발 방지 및 일시적 증상 완화, 근종의 부피를 줄임
      • 적응증
        • 커다란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는데 임신을 원하는 경우
        • myomectomy 전에 크기를 줄이기 위해
    • Ulipristal acetate(selective progesterone receptor modulators(SPRM))
  • 인터벤션: Uterine artery embolization.
  • 수술적 치료
    • Hysterectomy: 임신을 원하지 않을때
    • Myomectomy: 임신을 원하거나 자궁 보존을 원하는 경우
    • Hysteroscopic resection: 작은 submucosal myoma
    • 적응증
      • 호르몬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비정상 자궁출혈로 빈혈이 있는 경우
      • 심한 만성 통증; 월경통, 성교통 등
      • 급성 통증
      • 비뇨기계 증상
      • 불임을 일으키는 유일한 원인인 경우
      • 압박 증상


이차 변성 병변

  • Hyaline degeneration(m/c): 혈류 장애로 생김
  • Sarcomatous change: 나쁜 예후, 10HPF에서 10개 이상의 mitosis가 존재할 경우
  • red degeneration: 임신 중 혹은 산욕기 동안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용혈 및 허혈로 인한 aseptic necrosis
    • 진통제(codeine) 투여하면서 경과관찰, 수일 이내 증상과 징후 소실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