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Pleural effusion

가슴막 삼출액(pleural effusion)은 감염, 암, 심부전 등의 여러 원인에 의해 pleural cavity에 액체가 차는 것이다. 그 원인을 unilateral/bilateral 여부, 흉막액 검사에 따라 찾아볼 수 있다.

<img src='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3/30/Effusionhalf.PNG' width=300>

Light's criteria

다음 3개 중 1개 이상 만족시 exudate

  1. pleural protein/serum protein >0.5
  2. pleural LDH/serum LDH >0.6
  3. pleural LDH > 2/3 of serum normal upper limit

위 기준 만족하더라도 protein 차이가 3.1이상이면 transudate로 진단

Exudate

  • WBC 증가: 부폐렴성
  • 림프구 증가: 결핵성, 악성
  • 호산구: 기생충, 진균
  • 아데노신탈아미노효소(ADA): 림프구와 함께 증가시 결핵 시사(45IU/L)
  • glucose < 60mg/dL: 세균, 류마토이드, 악성
  • 기타: 혈흉, 암죽가슴증(TG>110mg/dL)

Transudate

치료

Tube thoracotomy indication

흉관 삽입의 적응증

  • pleural fluid pH<7.2
  • pleural glucose <60mg/dL
  • gram stain(+) or culture (+)
  • gross pus
  • loculated pleural fluid
  • 기타: 외상성 혈흉, 암죽가슴증(octreotide도 투여)

위의 적응증이 아닌 경우 thoracentesis 및 항생제 투여 가능

외상성 혈흉

  • 흉관 삽입: 순환혈액량 보충하면서 흉강 내 혈액 배액하여 출혈 정도 파악
  • 개흉술
    • 흉관 삽입 직후 배액되는 혈액량 >1000mL
    • 시간당 100mL 이상의 출혈이 4시간 이상 계속되는 경우

관련 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