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Piaget's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Piaget's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피아제는 인간의 인지발달은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 4 단계를 통하게 되며, 질적으로 다른 이 단계들은 정해진 순서대로 진행되고 단계가 높아질수록 복잡성이 증가된다고 한다(Piaget,1954).

감각운동기

  • 감각운동기(Sensorimotor Stage)의 시기 : 출생 직후 ~ 2세
  • 말을 못하니 감각과 운동기술을 사용하여 외부환경과 상호 작용한다.
  • 대상영속성(Object permanence)을 보유; 이는 대상이 보이지 않더라도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을 말한다. 초기의 아동은 어떤 대상이 눈 앞에서 사라지면 세상에서 없어지는 것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이 시기가 지나게 되면 눈 앞에서 사라져도 아예 없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8개월 무렵부터).

전조작기

  • 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의 시기 : 2세 ~ 6, 7세
  • 전조작기란 조작이 가능하지 않은 이전의 단계라는 의미로 대략 언어를 사용하여 표현
  • '상징적 사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표상들을 그림이나 언어 등의 형태로 표현한다.
    •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가상놀이라는 것이 있는데, 소꿉놀이나 병원놀이와 같은 것으로 가상적인 사물과 상황을 실제 사물이나 상황처럼 상징하곤 한다.
    • 자기중심적 사고 : 아이들은 남을 배려하지 못한다. 피아제는 그 원인을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찾는다. 전조작기의 아이들은 타인의 생각, 감정, 지각, 관점 등이 자신과 동일하리라고 생각하는 특성을 가지게 되는데, 유명한 세 산 실험의 결과에서 그 내용을 찾을 수 있다.
  • 기타 직관적 사고

구체적 조작기(7~11세)

  • 보존 개념: 모양이 넓은 같은 모양의 컵에 같은 양의 우유를 보여준 뒤, 한 컵의 우유를 모양이 다른 긴 컵에 부어도 긴 컵과 넓은 컵의 우유의 양은 같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형식적 조작기(11,12세 이후)

  • 가설적 사고, 과학적 사고, 추상적 사고, 체계적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