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Decompression sickness

감압병(Decompression sickness)은 Henry 법칙에 의해 고압환경에서 체내에 과다 용해되었던 불활성 기체가 압력이 낮아지면서 혈액과 조직에 기포를 형성하면서 생기는 질환

임상 양상

  • 대리석양 피부, 통증, 피부소양감: 가장 먼저 나타난다
  • 호흡 장애, 흉부통증, 기침, 호흡곤란
  • 척추 경색증, 운동 및 감각기능 장애
  • Aseptic bone necrosis: 만성적 장애, 상완골 침범이 흔함

치료

  • 재가압 산소 요법(TOC): 조기에 고압실 수용하여 서서히 감압 후 산소 공급
  • 예방
    • 서서히 감압시킨다.
    • 감압 완료 후 산소 흡힙시켜 잔류 체내 질소 배설을 촉진

감별 질환

  • Arterial gas embolism
    • 폐 과팽창 증후군에 의해 폐포가 파열되면서 주변 정맥으로 기포 유입
    • 수면으로 복귀할 때 또는 수면 도착후 10분 내 급작스럽게 발생, 잠수 장애 중 치명률이 가장 높다
    • 신속한 고압산소요법 실시
  • pulmonary overinflation syndrome: 호흡을 멈춘체 상승할 때 잘 발생
  • Nitrogen narcosis: 압축공기로 30m 이상(4기압 이상) 잠수시, 수심에 따라 황홀감, 판단력 감퇴 등의 증상 나타남(Martini's rule), 마취 현상이 적은 불활성 기체를 산소와 혼합
  • Oxygen toxicity: 산소 분압이 2기압이 넘을 경우, 시야가 좁아지거나, 경련 등의 증상, 산소의 농도를 낮추거나, 간헐적으로 5~10분간 공기를 호흡하여 예방
  • Barotrauma로 중이 압착증이 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