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Aphagia

실어증(aphagia)는 말을 하거나 읽거나 쓰기, 이해하는 것에 문제가 생기는 증상으로 운동 기능의 저하로 인한 dysarthria와 구분된다.

Broca 실어증(Broca's aphasia) 말을 알아듣는데는 지장 없음, 유창하게 말을 하지 못한다. Broca area(inferior frontal gyrus of frontal lobe)의 손상(MCA M2 superior division infarction)
Wernicke 실어증(Wernicke's aphasia) 스스로 말은 할 수 있으나 남의 말을 이해하기가 힘들다. 문법의 오류나 틀리게 말하는 경우가 많으며 자신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모름.
완전실어증(global aphasia) Broca, Wernicke 영역을 모두 침범한 실어증으로 말을 알아듣기와 스스로 말하기 모두 장애
전도실어증(conduction aphasia) arcuate fasciculus(활꼴다발)에 국한적 손상-따라말하기가 유난히 안된다.언어, 문자이해는 가능, 자발언어는 가능하지만 착어가 많다.
초피질운동실어증(transcortical motor aphasia) 따라말하기(Repitition)를 잘함. 언어, 문자 이해는 가능하나 말하는 것에 장애, Broca 영역의 손상없이 그 주변 frontal lobe의 병변시
초피질감각실어증(transcortical sensory aphasia) 따라말하기를 잘함. 언어, 문자이해 불가능, 글쓰기 및 음독 장애, Wernicke area 손상없이 주위 손상시키는 알츠하이머병에서 가능
혼합초피질실어증 초피질운동/감각실어증이 동시에언어,문자이해, 자발언어, 음독, 쓰기 장애. 따라말하기만 가능.
명칭실어증 병소 위치가 다양. 다른 유형 실어증 회복 단계에서 보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