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Acute pyelonephritis

급성 깔때기콩팥염(급성 신우신염, Acute pyelonephritis, APN)

임상 양상

  • 원인: 균의 상행성 감염(m/c), 혈행성 감염도 가능
  • 해부학적 이유로 여성에게 더 흔하다(요도가 짧고 직선 구조.)
  • 고열, 오한, 옆구리 통증, 방광염 증상(빈뇨, 야간뇨, 요급박, 배뇨통, 잔뇨통), 오심, 구토(장기 위치와 신경 분포의 인접성 때문에 소화기 증상이 자주 동반)
  • Acute cystitis와 달리 발열, 오한 등 전신 증상이 있다.
  • 일부 환자에서는 G(-) sepsis가 주증상일 수 있다.

진단

  • 백혈구 증가증, ESR 상승
  • 소변검사 : 심한 농뇨, 세균뇨, 단백뇨, 현미경적 혈뇨가 흔히 관찰됨. 백혈구 원주, glitter cell, b2-microglobulin
  • 요배양검사 : 10^5CFU/ml 이상의 세균이 배양
  • 방사선 검사
    • 단순 요로촬영(KUB) : 콩팥과 콩팥 주위 지방조직의 부종으로 콩팥음영이 소실
    • 배설성 요로조영(Excretory urogram) : 대개 정상
    • 99mTc-DMSA: 음영결손 – 병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소아에서 주로 이용
    • CT : 조영증강이 감소

치료

합병증

  • 기종성 신우신염(emphysematous pyelonephritis): DM 환자에게 흔함
  • 콩팥 농양(renal abscess)
    • 4~5일 간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신우신염의 증상 계속되거나 요로결석이 있을 때 의심
    • 3cm이하의 경우 항생제로 치유, 5cm 이상이거나 항생제 반응이 없는 경우 경피적 배농 가능

감별 질환